롯데뮤지엄은 디지털 이미지 환경에서 감각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회화와 입체 작업을 통해 탐색해 온 작가 옥승철(Ok Seungcheol, b. 1988)의 개인전 《프로토타입 PROTOTYPE》을 개최한다. 복제, 변형, 유통, 삭제라는 이미지의 네 가지 작동 방식에 주목해 온 작가는, 이미지가 더 이상 고정된 ‘원본’으로 작동하지 않는 환경 속에서, 그것들이 어떻게 계열적으로 파생되며 소멸과 재생성을 반복하는지를 시각화해 왔다. 회화와 조형 작업을 아우르는 구·신작 80여 점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고정되지 않은 실체로서의 이미지, 그리고 ‘되어가는’ 감각의 조건을 다시 사유하는 옥승철의 첫 대규모 개인전이다.
《옥승철: 프로토타입 PROTOTYPE》은 디지털 공간이라는 환경 속에서, 이미지가 감각되는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묻는 전시다. 이미지는 더 이상 하나의 ‘원본’을 기준으로 질서를 이루지 않는다. 오늘날의 시각 문화는 복제, 변형, 유통, 삭제의 반복을 통해 감각의 흐름을 구성하며, 이미지들은 유사성과 차이의 연속 속에서 계열적으로 분기해 나간다.
작가 옥승철은 이 같은 이미지 환경의 구조를 회화와 입체 작업을 통해 탐색해 왔다. 특히 그의 회화는 고정된 재현의 장르가 아니라, 불안정하고 미결정적인 상태를 구성하는 예술적 시뮬레이션의 장으로 기능한다. 국적이나 성별이 불분명한 인물들을 담은 그의 초상화는 반복, 중첩, 소거와 재등장의 흐름 속에서 구성되며, 그의 입체 조형 역시 이러한 이미지의 작동 구조를 따른다. 트로피나 두상 같은 상징적 형태는 치환 가능한 표피이자 창작 행위의 잔여물로서, 다양한 스케일과 물성으로 공간에 배치된다.
‘프로토타입’은 원래 반복될 무언가의 첫 형상을 뜻하는 단어이지만, 옥승철에게 그것은 완결된 원형이라기보다 가역적으로 작동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열림(open series)에 가깝다. 《프로토타입 PROTOTYPE》에 전시된 그의 구·신작 80여 점은 복제와 변형, 유통과 삭제의 흐름 속에서 끊임없이 ‘되어가는(becoming)’ 감각의 상태로 제시된다.
옥승철(Ok Seungcheol, b.1988)은 디지털과 회화의 경계를 허물고 동시대 문화의 원본, 복제, 유통의 개념을 끊임없이 탐구한다. 만화, 광고, 게임, 영화 등에서 수집한 인물들을 재조합해 디지털 이미지를 만들고 이를 캔버스나 조각으로 옮기는 방식의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그는 회화를 단순한 재현이 아닌, 이미지의 생성·복제·유통 과정을 사유하는 매체로 삼으며, 디지털 환경에서 ‘원본’ 개념이 어떻게 희미해졌는지에 주목한다.
중앙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한 옥승철은 2018년 첫 개인전 《UN ORIGINAL》을 시작으로, 스페이스 이수(2021), 아트선재센터(2022), 파르코 뮤지엄 도쿄(2024, 도쿄)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부산현대미술관, 대구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누크갤러리 등에서 단체전을 개최하며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월 1회 휴관 (공지사항 확인 부탁드립니다)
• 고객센터 점심 시간: 11:30 - 12:30 (공휴일 및 주말은 휴무)
※정상가: 성인: 20,000원, 청소년·어린이: 13,000원